728x90

바둑 11

용자 이세돌 알파고 5국 최종국 결과

세기의 대결이라는 인류 최강자 중 한면 이세돌 9단과 최고의 인공지능이라는 구글 집마인드의 바둑 대국 드디어 제 5국 마지막 최종국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치열하게 싸운 이세돌 선수에게 박수를 보내고, 기술 발전의 놀라움을 보여준 알파고에게도 기대해 봅니다. 인류의 희망 용자 이세돌이 인류의 희망을 안고 세기의 대결 모험을 떠납니다.... 하지만 방심한 초일류 고수 용자 이세돌은 방심하다가 처참하게 당하고 맙니다. 이데로... 인류의 희망은 사그러지는 걸까요.... 방심햇던 용자 이세돌은 다시 심기일전해서 회심의 일격을 날립니다~! 인류의 희망은 다시 불타오르고~~! 심기일전한 이세돌이 인류의 희망을 다시 살리는가 싶었지만... 1202 멀티 팔과 176개의 이빨을 가진 알파몬의 가혹한 끝내기 수에는 당해..

알파고 패배 기권창 팝업 메세지 AlphaGo resigns

이세돌이 4국에서 78번 신의 한수로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에게 불계승 승리 했습니다. 3패후 1승을 한 이세돌이 무척이나 기뻐했고, 중국과 일본, 서양 바둑팬들이 이세돌의 승리를 축하 했는데요. 알파고는 패배 선언 신호를 어떻게 했을까요? 사람 기사들 끼리 대국을 할때 더이상 바둑을 두어도 의미가 없을정도로 승부가 기울었을때, 계가를 하지 않고 기권 항복을 표시 할때 인간 기사들은 바둑돌 두개를 놓으면서 항복 기권의 의미로 돌을 던졌다고 합니다. 알파고는 돌을 어떻게 던져서 기권 의사표시를 할까요? 알파고는 인공지능이기 때문에 모니터에 팝업창 메세지를 띄웠습니다. AlphaGo resigns The Result “W+resign” was added to the game information 알파고 메세..

이세돌 4국에서 알파고에게 승리

드디어 4국에서 이세돌이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 알파고에게 승리 했습니다. 1국이 시작되기 전에는 이세돌이 압승 할것 같았지만. 1국에서 알파고가 불계승. 2국에서도 알파고 불계승. 그리고 3국에서도 연속으로 알파고가 불계승 하면서 이번 경기에서 알파고가 우승했지만 경기 규칙상 5국까지 모두 두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4국이 진행 되었습니다. 3:0으로 패한 후에 이세돌은 "이세돌이 진것이지 인류가 진것은 아니다" 라는 의미 심장한 말을 했는데요. 인공지능 알파고의 놀라운 능력 앞에 바둑불패를 연상시키는 알파고, 인간이 알파고를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는데요. 4국에서 이세돌이 초인 같은 초자연적 능력을 발휘해서 한판이라도 이기는 기적 같은 결과를 응원했습니다. 그런데 정말 기적 같은 일이 발생 했습..

알파고의 롤모델은 이창호..?

이세돌과 이창호 4국을 보고 있는데요. 해설에 의하면 알파고가 전성기 이창호의 모습을 보는 것 같다고 하네요. 알파고의 바둑을 보면 실리와 두터움의 조화를 이루면서 마치 이창호 바둑을 보는 것 같다고 합니다. 아마도 알파도가 판후이와의 대결에서는 주로 아마추어 기보를 입력 받았는데. 판후이 걍기 이후에 이세돌과의 대국을 앞두고 프로기사의 기보를 데이터로 삼았다고 하는데요. 지난 16년간 세계 바둑의 1인자로 불세출의 능력을 과시한 이창호의 기보를 학습하면서 이창호 기풍을 흉내내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세돌이 알파고와 대국하면서 마치... 알파고가 아니라 이창호와 대국하는 느낌을 받고 있을까요?

알파고 어쩔수 없는 기계이군요.

이미 알파고의 3:0 승리가 끝난 후에 오늘 제 4국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주 재미있는 코미디 같은 상황이 발생 했네요. 이세돌이 알파고를 테스트 하느라고.. 어제와 똑같이 돌을 놓자. 알파고가 어제와 똑같은 수를 놓습니다. 이세돌은 3초만에 어제와 같은 돌을 놓자 알파고는 1분생각하고 어제와 똑같이 둡니다. 알파고는 새로운 바둑을 두지 않고 녹음기나 복사기처럼 어제와 똑같이 두네요. 이런식이라면 이세돌은 시간게이브 엄청되고 알파고는 시간 낭비하겠네요. 아무튼... 알파고는 창의적인 생각으로 다양한 수를 창조하는게 아니라 기계적으로 통계에 따른 최적의 수 1가지만 두는 것 같습니다. 이세돌이 지난 2국을 똑같이 두는 테스트 끝내고 이제 이세돌이 다른 수를 놓습니다. 해설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이세돌..

제4국 이세돌이 알파고 상대로 신화를 쓸수 있을까요?

오늘 오후 2시 이세돌과 알파고 바둑대국 제4국이 열리는데요. 이미 3대0으로 알파고가 우승을 차지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대국 계약에 따라서 이세돌과 알파고는 승부가 정해진 상태에서 나머지 4국과 5국을 두게 되어있는데요. 알파고의 진면목을 알지 못했던 사람들은 이세돌이 무조건 이길거라 생각했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알파고는 완벽한 바둑 인공지능 이라는 평가 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 측은 물론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CEO도 알파고의 능력에 스스로 놀랐다고 하는데요. 엄청나고 방대한 데이터와 초고속 연산능력, 그리고 하루에 수만번의 대국이 가능한 학습능력으로 절대 무적으로 여겨지는 알파고. 대국 전에는 단순 인공지능으로 치부되어 무시 되다가, 인류 최고 바둑 기사 초고수 라는 이..

알파고 반칙 부정행위?

일부에서 알파고는 바둑룰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알파고의 알고리즘은.... 구글 본사 서버에 연결된 슈퍼컴퓨터 1202개의 CPU와 176개의 GPU가 인간이 놓는 수에 대해서 각기 계산해서 가장 적합한 수를 제시해 주고 이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돌의 위치를 지정해서 알파고가 돌을 놓게 한다고 하네요. 인간이 내다볼수 있는 수는 아무리 많아도 100수이지만 알파고는 100수를 넘어서 끝까지 수를 볼수 있다고 합니다. 이세돌이 바둑돌 하나를 놓으면 알파고와 연결된 1202개의 CPU가 수천번의 게임을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해서 끝내고 그중에서 가장 승률이 높은 수를 알파고가 놓게 한다고 합니다. 이세돌은 한게임을 하는 것이지만 알파고는 이세돌이 돌을 하나 놓을때마다 매순간 수천게임..

알파고가 무서운 이유

이세돌이 압도적으로 우세하고 5:0 전승이 예측되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알파고가 불계승으로 2연승중이네요. 5개월 전에는 알파고가 바둑계에서 그렇게 아주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지 못했으나. 5개월 동안 알파고는 자기 학습알고리즘으로 진화를 거듭해서 더욱더 강력한 인공지능이 된것 같습니다. 1000년간의 기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짧은순간에 수많은 자가학습을 통해서 이렇게 빨리 인공지능이 진화되다니 놀랍네요. 구글 딥마인드 알파고가 1000년간의 바둑기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고속 연산을 통해서 가장 적절한 수를 두는 것 같은데요. 알파고가 무서운 이유중 하나가... 단순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보를 따라서 최적의 수를 놓는데 끝나는것이 아닌것 같습니다. 바둑전문가와 해설가들의 설명에 의하면, 알파..

이세돌 VS 알파고, 1 대 1202, 1 VS 1202

이세돌과 알파고 바둑대결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당여히 세계최강 바둑기사 이세돌9단이 압승 할줄 알았지만.... 결과는 5국중 진행된 2국 모두 알파고가 압승하고 있습니다. 이세돌의 불계패... 알파고의 2연승... 이세돌이 승리하려면 남은 3국 3경기 모두 승리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네요. 알파고가... 예전 허접한 바둑게임 프로그램이 조금 더 발전한 수준 정도로 생각하고 어제 오늘 대국을 봤는데요. 알파고 인공지능 수준에 깜짝 놀랐습니다. 알파고 인공지능은 구글 본사 슈퍼컴퓨터 CPU 1202개 + GPU 176개라고 하니... 성능이 놀라울만 하네요. 아무튼 인공지능 로직 개발 수준이 생각보다 많이 발전한 것 같아요. 알파고를 만든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는 어린시절 체스 챔피언이었고..

이세돌 알파고의 바둑은 게임? 스포츠? 과학?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 대결을 포스팅 하면서 한가지 의문이 들더군요. 과연 이번 바둑 대국의 카테고리를 스포츠로 하야 하나, 아니면 it 과학?. 아니면 게임? 게임이란 인간이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 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면 이번 대국은 단순히 이세돌의 즐거움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기에 단순히 게임은 아닌것 같습니다. 그러면 인공지능의 수준을 테스트하기 위한 일종의 IT과학의 범주라고 해여 할까요? 인간 이세돌의 자존심이 걸려있는것이고 단순히 알파고 성능테스트와 학습 도우미 역할을 하기 위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학실험이나 IT과학 테스트는 아닐것 입니다. 그러면 스포츠 일까요? 두 상대가 서로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바둑이라는 도구로 겨루고 승부를 하면서 상금이 걸려있는 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