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피스 프로 1 VS 서피스 프로 2. 성능 비교

정보 2013. 11. 1. 15:36
반응형

 

서피스 프로 1세대와 서피스프로 2세대의 성능을 비교해 봅니다.

 

 

 

 

 

서피스프로1을 사용하면서.. 이번에 출시된 서피스프로2에 관심이 있어서..

해외사이트 뒤져서 자료 모아 봤습니다.

 

 

1. CPU성능

 

웹기반 벤치마킹 프로그램으로 벤치마킹한 데이터 라고 합니다.

 

이하 벤치마킹 프로그램에서는 수치가 낮을수록 빠른 성능으로 좋은 것입니다.

 

 

 

 

 

이하 벤치마킹 프로그램에서는 수치가 낮을수록 빠른 성능으로 좋은 것입니다.

 

 

 

 

 

 

 

결과 : 제가보기에... 벤치마킹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webXPRT와 SUNSPIDER에서는 차이가 아주 심하네요. 거의 40%~90%이상 성능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다른 나머지 벤치마킹 프로그램에서는 성능차이가 그리 크게 나타 나지 않습니다.

 

서피스프로 1세대 아이브릿지 CPU와 서피스프로 2세개 하스웰 CPU의 성능 차이는 벤치마킹 프로그램 마다 차이가 심해서 뭐라 단정 지을수 없는것 같아요.

 

하지만.. 분명한건.. 아이브릿지보다 하스웰의 성능이 더 좋은 것이죠.

 

 

 

 

2. GPU성능

 

서피스 프로 1에는 인텔 HD4000 내장 그래픽 코어가 들어가고. 서피스 프로 2 에는 인텔 HD4400 내장 그래픽 코어가 들어갑니다.

 

이하 그래픽 성능 벤치마킹 결과는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픽 벤치 마킹은 프로그램마다 크게는 20%에서 적게는 2%의 성능차이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네요.

 

HD4000 과 HD4400은 그다리 큰 성능차이를 보이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3. 배터리 타임

 

서피스프로1이 가장 많이 욕을 먹는 부분이 베터리 타임 입니다.

 

서피스프로1과 서피스프로2에는 동일한 용량의 베터리가 들어 갔는데요.

 

과연 아이브릿지 서피스프로1에서... 전력관리가 좋고 저전력인 하스웰 서피스프로2로 바뀌면서 베터리 타임이 얼마나 늘어 났을까요?

 

  

 

와이파이 웹서핑에서는 2시간 조금 못되게 증가 한듯 합니다. (시간 단위가 약간 이상해요..;;)

 

 

 

720P 동영상 연속 플레이시에는 1시간이 안되는 시간 증가 입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하스웰 서피스프로2를 내놓으면 약 70%의 베터리 타임 향상이 잇엇다고 하지만..

 

간단한 웹서핑에서는 액 40%의 배터리타임 증가만 있었다는 벤치마킹 테스트 결과를 보여 줍니다.

 

마이크로 소프트 주장과는 많이 차이가 있네요.

 

특히... 서피스프로1으로 매우 고사양 작업을 하면 1시간 남짓이고. 어느정도 사영이 되는 작업을 하면 2시간 남짓의 실제 사용시간인걸 감안하면.... 하스웰 서피스프로2도 초고사양 작업에서는 1시간에서 조금더 어느정도 사영이 요구되는 작업세너느 2시간에서 조금더... 약 몇십분의 배터리 타임 증가만 있을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다른 벤치마킹 사이트에서는 서피스프로2로 웹서핑만 했을떄 7시간을 넘겼다는 얘기도 있으니... 참고 하세요.

 

 

 

4. 저장미디어 성능.

 

서피스프로1과 서피스프로2 모두 동일한 SSD가 들어가니까.. 비교가 무의미 하고.. 참고적으로 서피스프로2의 ssd 성능만 올려 봅니다.

 

수치가 클수록 좋은것 입니다. 

 

 

 

다른 테블릿 기기에 비해서.. 서피스프로의 데이터 읽기와 쓰기 성능이 넘사벽이군요.

 

아마도 서피스프로에 들어간 ssd의 성능 때문인듯 합니다.

 

 

 

 

5. 디스플레이.

 

마이크로소픝의 발표에 의하면 서피스프로1에 비해서 서피스프로2의 색상표현 능력이 45% 상승 했다고 하는데요.

 

두기기의 디스플레이 테스트 데이터 비교입니다.

 

 

 

a. 액정 밝기.

 

백색화면 -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것 입니다.

 

 

 

검정색화면 - 수치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서피스프로1은 액정이 백색일때 밝기가 떨어지는 모습이고, 어두운색일때 밝기를 충분히 낮출수 있어서 어두운 색상 표현은 좋은 모습을 보여주네요.

 

서피스프로2는 그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아마도 서피스프로2의 백라이트 기본 밝기가 높은 것으로 교체 된 모양입니다.

 

실지로 서피스프로1을 밝은 대낮에 애외에서 사용할때 밝기가 아쉬운 부분이 있더군요.

 

 

 

b. 콘트라스트.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고 합니다.

 

 

콘트라스트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비를 뜻합니다.

 

콘트라스트가 높으면 좀더 선명해 보이는 장점이 있고. 약간 부드러움이 감소할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일단 콘트라스트에서 서피스프로2가 약간 개선된것 같습니다.

 

 

 

C. 그레이스케일.

 

회색에서 검정으로 변해가는 명도차이. 수치가 낮을수록 좀더 부드러운 계조를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데요.

 

캘리브레이션 되지 않은 서피스프로2는 4.9230. 캘리브레이션이 되지 않은 서피스프로1은 5.2782

 

어느정도 약간 차이를 보여주지만...

 

캘리브레이션을 한 서피스프로1은 무려 1.3987 이라는 수치를 보요주네요.

 

서피스프로2도 캘리를 하면 좀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겠지요.

 

 

 

 

d. 색역,

 

색공간은 얼마나 풍부한 색상을 표현 할수 있는가 입니다.

 

사각형 점에 가까울수록 표준색에 가깝고. 표준색에 맞추어 제작된 이미지와 영상을 원래 의도 데로 볼수있습니다.

 

 

서피스프로1과 서피스프로2 모두 표준 색공간에서 빨강과 파랑이 많이 부족하고 녹색이 조금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데요.

 

기본 상태에서는 서피스프로2가 좀더 정확한 색 좌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서피스프로1을 캘리한 그래프 입니다.

 

서피스프로1을 캘리하면 서피스프로2와 거의 동일한 색상 표현 영역을 가지게 되네요.

 

서피스프로1은 캘리브레이션이 필수 인듯 해요 ^^;

 

 

 

 

참고적으로 태블릿기기 중에서 표준 sRGB공간을 만족 시켜주는 색공간을 갖는것은 ipad3와 ipad4 라고 합니다.

 

아이패드3 이후부터 색상표현 능력이 가장 표준에 가깝고 원래 색에 가깝다고 할수 있겠네요.

 

 

 

 

e. 세츄에이션.

 

 색상의 진함을 나타내는데요, 수치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채도의 정확성 그래프 (서피스프로 1 캘리하기 전 기본 상태)

 

 

채도의 정확성 그래프 (서피스프로 1 캘리브레이션 조정 후)

 

 

채도 부분 역시 서피스프로1은 캘리브레이션 하기 전 기본 상태와 캘리 후의 모습이 전혀 다르네요.

 

캘리 후에는 서피르스프로1이나 서피스프로2나 크게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

 

 

 

 

 

f. gmb....

 

뭔지 모르겠으나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고 합니다.

 

 

 

 

gmb색상 정확도 그래프 (서피스프로1 캘리 이전)

 

 

 

gmb색상 정확도 그래프 (서피스프로1 캘리 이후)

 

아무레도.. gmb를 봐서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서피스프로1은 액정의 색상값 체크 안하고 출시 한듯 하고... 서피스프로2는 꼼꼼히 튜닝을 한것 같습니다.

 

 

 

 

g. 색온도.

 

화이트 백색을 규정하는 국제표준입니다.

 

6504k에 가까운 수치일수록 낮의 햇볕속의 자연 색상을 표현하고 실제 백색에 가까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준은 서양의 대낮입니다. 동양과는 살짝 다르지요.

 

9000k에 가까울수록 푸른끼가 강하고 차가운 느낌을 줍니다.

6000k에 가까울수록 흰색에 가깝지만 다르게 말하면 미묘하게 붉은끼와 노란끼가 있다고 볼수도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에서 만든 휴대폰들의 액정 영향인지 9000k에 가까운 파란 화면을 선호 하더군요.

6000k에 가까운 국제 표준 실제 백색은 오히려 오줌액정이라고 싫어 하는 이상한 현상이 국내에만 있다고 합니다.

 

 

 

아무튼 규제 표준 규격은 6504k이니까. 서피스프로2가 좀더 국제표준 규격에 가까운 실제 백색과 실제 컬러를 보여줍니다.

 

제가 서피스프로1을 사용해보니.. 붉은끼가 부족하고 푸른끼가 많더군요.

 

어쩌면 파란 화면을 좋아하고 백색을 오줌액정이라고 오해 하는 국내 실정에는.. 귝제 규격에 맞는 백색을 가진 서피스프로2보다는.. 약간 푸른빛이 도는 서피스프로1이 더 호응이 좋을지도 모르겠어요.

 

 

재미있는 사실은...

 

 

 

색온도는 캘리로 변경이 안되는줄 알았는데..

 

캘리하면 서피스프로1도 6500k에 근접시킬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서피스프로1에서 가장 마음에 안드는게 푸르딩딩한 파란끼의 화면인데요.

 

꼭 어떻게 해서든 캘리브레이션을 해야 할듯 하네요..^^;

 

 

 참고적으로 색온도에 따른 색감의 차이 입니다.

 

같은 사진이나 같은 동영상도 색온도에 따라 색상이 많이 달라 집니다.

 

 

 

 

 

 

 

h. 와콤펜.

 

서피스프로의 핵심 중 하나인 와콤 디지타이져 입니다.

 

와콤펜 리뷰는 찾기가 힘든데요... 아마도 동일한 와콤펜이 들어간것 같은데요.

 

서피스프로1에서 지적되던 펜오차 모습이 서피스프로2에서도 동일하게 보이는것을 보니.. 와콤 디지타이져는 동일한것 같습니다.

 

서피스프로2 와콤 디지타이져 데드존 테그트 영상을 첨부 합니다.

 

 

 

펜을 기울이면 생기는 펜포인트 오차는.. 기울기 센서가 내장 되지 않은 저가형 와콤 시스템의 공통된 문제이고..

 

화면 가장 자리로 가면 펜이 튀는 현상은.. 300만원짜리 와콤 초고스펙 신티크에도 나타나는 와콤 디지타이져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하네요.

 

와콤이 오랜 경험과 기술로 필압과 기울기 센서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전자기 유도 방식의 펜의 태생적 한계 때문에 베젤 외곽에서 펜 포인트 튀는 문제는 어쩔수 없다고 하는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또 중요한 가격입니다..

 

 

꾸준히 가격인하가 되고 있는 서피스프로1. 799달러 (약 84만원) 이제 거의 끝물 같은데 가격의 끝은 어디 일지..

 

얼마전 새로 발매 된 따끈따근한 서피스프로2.  999달러 (약 109만원) 서피스프로2는 언제 가격이 떨어질지 모르겠네요.

 

가격은 ssd 128GB 모델 기준 입니다.

 

반응형
: